안녕하세요.
153오토테크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경고등 색상의 의미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운전 중 계기판에 나타난
낯선 표시로 인해 당황해 본 경험 있으신가요?
자동차 경고등은
자동차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등입니다.
워낙 종류가 다양하고 일상에서 자주 마주하지 않으니
정확한 의미를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요.
많은 정보를
한 번에 보여줘야 한다는 특성 때문에
얼핏 봐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각종 자동차 경고등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또 각각의 경고등이 나타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전한 주행을 위해 운전자가 알아두면 좋은
각종 자동차 경고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고등은 크게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파란색/초록색에서 노란색을 거쳐 빨간색으로 갈수록
시급성이 커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파란색은
장치가 작동 중이지만 타인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한 상황
에 나타나는 색상입니다
초록색은
방향 지시등이나 헤드 램프 등 자동차 운행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
에 나타나는 색상입니다.
노란색은
주의 신호로, 운행은 가능하지만 향후 차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한 상황
에 나타나는 색상입니다.
빨간색은
매우 위험한 신호로, 반드시 주행을 멈추고 가까운 정비소에 방문해 차량을 점검해야 하는 상황
에 나타나는 색상입니다.
다음으로는
색상별 경고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파란색 경고등입니다.
파란색 경고등이 켜졌다면
타인의 주행에 불편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이 문제인지 빠르게 인식하고
경고등이 점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전조등 상향 표시등입니다.
전조등 점등 상태에 조명 스위치를 위로 올리거나 운전자 방향으로 당기면 상향등이 점등되고 점등됩니다.
엔진과열(냉각수) 경고등입니다.
엔진냉각수가 없거나 엔진에 문제가 생겨 엔진 과열시 점등됩니다.
운행을 중단하고 엔진과열, 냉각수 부족 등 원인을 점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음으로는 초록색 경고등입니다.
초록색 경고등이 켜졌다면
무엇이 켜져있는지 인식하고
불필요한 것이 켜져있지는 않은지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경고등에는 종류가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꼭 알아야 하는 초록색 경고등 몇 가지만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전조등 하향 표시등입니다.
통상적으로 전조등을 켰을 때 표시됩니다.
방향지시등 및 비상경고등입니다.
방향 전환시에는 해당 방향의 화살표가 점등되고,
비상경고등을 작동시키면 좌우 화살표가 모두 점멸됩니다.
조명 점등 표시등입니다.
미등 및 차폭등을 켰을 때 표시됨
전후면 안개등 표시등입니다.
전후방 안개등을 켰을 때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경제운전모드(ECO) 표시등입니다.
드라이브 모드 중 에코 모드 작동중이면 ECO 표시등이 점등됨되고
작동 해제시 꺼집니다.
스마트키(전자열쇠) 배터리 부족 경고등입니다.
스마트 키(전자열쇠) 작동 안내등입니다.
황색 점멸시 키 인식이 불가해지기 때문에
배터리 부족 등 확인이 필요합니다.
다음으로는 노란색 경고등입니다.
노란색 경고등이 켜졌다면
당장은 주행이 가능하지만
향후 차량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다분하므로
반드시 시간을 내어 차량 점검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비시기 알림 경고등입니다.
오일교환 등의 정비시기를 알려줍니다.
계기판 내 정비시기 조정 및 갱신하는 경우 소등됩니다.
서비스 경고등입니다.
서비스 정비 시기를 알려주는 경고등입니다.
정비센터 등 방문이 필요합니다.
ABS 경고등입니다.
ABS 작동시 점멸합니다.
ABS 브레이크 기능과 관련된 경고등으로,
시동을 켜면 3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됩니다.
계속 켜져 있으면 ABS 계통 이상이 있는 것으로 예상합니다.
휴즈가 끊어진 경우가 가장 빈번하고,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엔진 경고등입니다.
엔진 전자제어 장치 및 배기가스 제어와 관련 있는 각종 센서에 이상시와
연료탱크, 연료필터 등 연료공급장치에 누유시 점등됩니다.
엔진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점등되므로
가까운 직영 정비소 등에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를 활용해 점검해야 합니다.
연료 부족 경고등입니다.
연료 부족시 점등되고,
연료를 보충하면 소등됩니다.
저압타이어 혹은 TPMS 경고등입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매우 낮을시 점등되며
임시 타이어에는 TPMS가 장착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경고등이 켜질 수도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고
표준 공기압으로 보충 또는 타이어 파손 상태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작동 정지 표시등입니다.
차체 자세 제어 장치 작동시 점등됩니다.
워셔액 부족 경고등입니다.
워셔액 부족시 점등되고
와셔액을 일정량 이상 보충하는 경우 소등됩니다.
마지막으로 빨간색 경고등입니다.
빨간색 경고등이 켜졌다면
절대 주행을 하시면 안 됩니다.
차량에도,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도
치명적인 위험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발견 즉시
가까운 정비소에 방문하여
차량 점검을 받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입니다.
엔진 오일이 부족하거나
오일 순환 계통의 문제로 유압이 낮아지면 점등됩니다.
운행 중단을 추천합니다.
정비업소에서 엔진 오일량 점검 후
엔진오일 보충이 필요합니다.
압력이 떨어져 순환이 어려운지,
오일량이 부족한지 등도 확인해야 합니다.
ABS 경고등입니다.
ABS 작동시 점멸합니다.
ABS 브레이크 기능과 관련된 경고등으로,
시동을 켜면 3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됩니다.
계속 켜져 있으면 ABS 계통 이상을 예상합니다.
휴즈가 끊어진 경우가 가장 빈번하고,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를 활용해 고장 내용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브레이크 경고등입니다.
제동 시스템 이상시 점등합니다.
파킹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확인후 걸려있다면 해제,
해제 후에도 점등된다면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 방문이 필요합니다.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입니다.
에어 파킹 브레이크 작동시 점등됩니다.
파킹 브레이크 미작동 시에도 점등되었다면,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확인이 필요합니다.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입니다.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경고등과 경고음이 작동합니다.
통상적으로 주행속도가 9km/h 이상이면 경고등이 점멸되고
20km/h 이상 시 경고음이 울립니다.
정상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데도 점등되면,
안전벨트 모듈 고장 여부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에어백 경고등입니다.
에어백 경고등은 시동이 켜지면 약 6초간 상태 점검 중에 점등되고
문제가 없으면 소등됩니다.
계속 점등 또는 주행 중 점등되면 에어백 장치 문제 신호로서 점검 받아야 합니다.
엔진과열(냉각수) 경고등입니다.
엔진냉각수가 없거나 엔진에 문제가 생겨 엔진 과열시 점등됩니다.
운행 중단을 추천합니다.
엔진과열, 냉각수 부족 등 원인을 점검해야 합니다.
충전 경고등입니다.
배터리 방전, 팬 벨트 손상으로 충전장치 이상시 점등됩니다.
배터리 방전시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경고등이 점등된 채로 주행하면 냉각팬이 작동하지 않아 오버히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방전, 충전 장치 이상 점검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 경고등 중
중요한 몇 가지 만을 알아보았습니다.
경고등은 차량이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이기 때문에
항상 잘 확인하시고
사고가 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적절한 시기에 확인 및 점검을 꼭 받으셔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항상 안전 조심하세요!
이상으로
153오토테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동차 정보 및 소식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3오토테크] 대한민국 최초의 버스, 드럼통 버스왕, 하동환 자동차 (0) | 2024.06.25 |
---|---|
[153오토테크] 음주운전 법적 규제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윤창호 법 개정과 이전 (0) | 2024.06.24 |
[153오토테크] 한국 시내 버스 역사 알아보기 (2) (0) | 2024.06.24 |
[153오토테크] 한국 시내 버스 역사 알아보기 (1) (0) | 2024.06.24 |
[153오토테크] 버스는 언제부터 생겨난 걸까? 버스의 역사와 유래 (0) | 2024.06.20 |
[153오토테크] 이모빌라이저란 무엇일까요? 이모빌라이저 경고등과 원인, 해결 방법 (0) | 2024.06.19 |
[153오토테크] 자동차 계기판과 경고등 색상 의미 알아보기 (0) | 2024.06.17 |
[153오토테크] 자동차 ECU란 무엇일까요? ECU의 주요 역할과 종류, 고장시 나타나는 증상 알아보기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