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그먼트란 무엇일까요? Segment는 ‘나누다, 분할하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서 세그먼트란 사전적 의미 그대로 차급, 세그먼트를 나누는, 분류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배기량과 차량의 크기를 기준으로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거나 윤폭 및 윤거를 기준으로 1~6종으로 구분하고 있고, 유럽에서는 전장을 기준으로 A~F, 용도에 따라 J, M, S-세그먼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먼저 우리나라의 차급 분류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자동차관리법 제2조에서는 배기량과 차량의 크기를 기준으로 자동차를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구분 | 기준 |
경형 | 1,000cc 미만 길이 3.6m 이하 너비 1.6m 이하 높이 2.0m 이하 |
소형 | 1,600cc 미만 길이 4.7m 이하 너비 1.7m 이하 높이 2.0m 이하 |
중형 | 1,600cc 이상 2,000cc 미만 길이·너비·높이 중 한 가지 이상이 소형 초과 |
대형 | 2,000cc 이상 길이·너비·높이 중 세 가지가 소형을 초과 |
다음은 통행료 구분을 위한 자동차 분류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구분에서는 윤폭과 윤거, 축수 등을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여기서 윤폭이란 자동차 바퀴의 폭을 의미하고, 윤거란 바퀴와 바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축수란 단어 그대로 축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축의 개수의 따라 바퀴의 개수도 달라집니다.
구분 | 기준 | 적용 차량 |
1종(소형차) | 2축 차량 윤폭 279.4mm 이하 |
승용차 소형승합차 소형화물차(1톤 급) |
2종(중형차) | 2축 차량 윤폭 279.4mm 초과 윤거 1,800mm 이하 |
중형승합차 중형화물차 |
3총(대형차) | 2축 차량 윤폭 279.4mm 초과 윤거 1,800mm 초과 |
대형승합차 2축 대형화물차 |
4종(대형화물차) | 3축 대형화물차 | |
5종(특수화물차) | 4축 이상 특수화물차 | |
1종(경형자동차) | 배기량 1,000cc 미만 길이 3.6m 미만 너비 1.6m 미만 높이 2.0m 미만 |
다음은 유럽에서 사용하는 세그먼트 구분법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배기량과 차량의 크기, 윤폭, 윤거, 축수 등으로 차량을 구분하지만 세그먼트는 앞 범퍼에서 뒤 범퍼까지의 길이, 즉 전장을 기준으로 세그먼트를 분류하고 있습니다. 세그먼트는 전장을 기준으로 A~F-세그먼트를 구분하고, 용도에 따라 J, M, S-세그먼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구분 | 전장 |
A-세그먼트 | 3,500mm 미만 |
B-세그먼트 | 3,500~3,850mm |
C-세그먼트 | 3,850~4,300mm |
D-세그먼트 | 4,300~4,700mm |
E-세그먼트 | 4,700~5,000mm |
F-세그먼트 | 5,000mm 이상 |
구분 | 내용 |
J-세그먼트 |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
M-세그먼트 | 다목적 차량(MPV) |
S-세그먼트 | 스포츠카 |
그렇다면 차급 별 차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경형입니다.
경형자동차나 일부 마이크로차는 A-세그먼트에 해당하나, 전장이 3,500mm를 넘는 차량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세그먼트로 쉽게 차급을 구분할 수 있었지만 현대에 올수록 대중들이 큰 차를 원하며 차량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졌고, 그로 인해 세그먼트의 기준이 조금 무색해졌습니다. 차급은 업계의 불문율이나 암묵적인 룰에 불과하게 되었으며, 명확하게 약속된 것이 있는 것은 아니기에 참고만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B-세그먼트, 전장 3,500~3,850mm의 소형자동차입니다.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B-세그먼트 차량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벤츠의 경우는 B-세그먼트 급 차량이 아예 없고, BMW의 경우 하위 브랜드인 미니를 통해 B-세그먼트 차량을 시장에 내놓고 있습니다.
다음은 C-세그먼트, 준중형자동차입니다. 전장 3,850~4,300mm의 차량들이 C-세그먼트 급에 해당합니다.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 주로 전륜구동 해치백 기반 준중형 차량들이 포함됩니다.
다음은 전장 4,300~4,700mm의 D-세그먼트입니다. 중형차가 이에 해당합니다.
다음은 전장 4,700mm~5,000mm의 E-세그먼트입니다.
다음은 전장을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 단계인 F-세그먼트 차량입니다.
J-세그먼트는 SUV를 구분하는 것이지만 SUV는 같은 SUV 내에서도 경형, 초소형, 소형, 준중형, 중형, 준대형, 대형 SUV등으로 나뉘고 있기에 가장 경계가 모호한 차급이 아닌가 싶습니다.
M-세그먼트는 다목적 차량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RV의 한 종류로, 미니밴, MUV(Multi-Utility Vehicle) 등으로도 불립니다. 왜건이나 해치백보다 큰 짐을 실을 수 있고 대가족을 차량 한 대로 수용하며 편안한 주행감이 요구되는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마지막으로 S-세그먼트, 스포츠카입니다. 운전의 오락적 요소에 중점을 두고 만든 차량입니다.
세그먼트 등 차급의 구분은 기준이 모호해졌습니다. 어떤 차량은 중형에 해당하는데, 또 SUV에 해당하기도 합니다. 차급은 참고로만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153오토테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153오토테크 둘러보기 ▼
[153오토테크] 153오토테크가 하는 일들
국내외 각종 엔진 컴퓨터 수리(ECU DME DDE)화물차 중장비 ECU및 모듈수리국내외 이모빌라이져 모듈수리BCM 수리ABS 수리12V 48 리튬이온 배터리 수리하이브리드 배터리수리전세계 모든차량 스마트키
www.autolock.co.kr
[153오토테크] 153오토테크 사용설명서
안녕하세요.153오토테크입니다. 153오토테크는 30년의 현장과 수리 경험을 바탕에 두고 있습니다. 복잡하고 힘든 과정이 기다리고 있어도 자동차 응급실이라는 이명에 맞게 최선을 다해 작업을
www.autolock.co.kr
[153오토테크] 세계 자동차 역사
~1800년 기원전 5000년 경, 통나무를 가느다란 봉 모양으로 만들어 수레에 고정하고 양쪽에 얇게 자른 통나무 원판을 끼우는 방법이 나왔습니다. 최초의 바퀴입니다. 처음 등장한 바퀴는 매우 편
www.autolock.co.kr
'자동차 정보 및 소식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3오토테크] 자율주행자동차란 무엇일까요? 자율주행자동차 단계의 종류와 특징 (4) | 2024.09.12 |
---|---|
[153오토테크] 자동차 도어 종류 (0) | 2024.08.30 |
[153오토테크] 바퀴와 타이어의 역사 (0) | 2024.08.29 |
[153오토테크] 전륜구동과 후륜구동의 장·단점 (0) | 2024.08.22 |
[153오토테크] 세계 자동차 역사 (2) | 2024.08.14 |
[153오토테크] 소년 토요다의 효심으로 시작된 토요타 (0) | 2024.08.07 |
[153오토테크] 포르쉐와 폭스바겐 (0) | 2024.08.05 |
[153오토테크] 미래의 자동차를 만들었던 모험가, 프레스턴 터커와 터커 모터스 (1) | 2024.07.31 |